본문 바로가기
정책정보

1회용품 재활용률 9%? 충격적인 플라스틱 쓰레기 현실과 줄이기 실천법

by 빅토리아2025 2025. 5. 18.
728x90

 

1회용품 사용을 줄여야 하는 이유와 재활용의 현실

 

 

“커피 한 잔, 배달 한 끼, 마트 한 번.”
우리는 아무렇지 않게 1회용품을 하루에도 몇 번씩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편리함 뒤엔 지구를 병들게 하는 거대한 쓰레기산이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 이 순간에도 바다에는 플라스틱 빨대와 컵이 둥둥 떠다니고, 산에는 포장용 스티로폼이 바람에 날리고 있습니다.
1회용품은 쓰는 데 5분, 버려지면 분해되기까지 500년이 걸리는 물건입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가 왜 1회용품 사용을 줄여야 하는지,
그리고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엄격한 현실인 재활용의 진실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왜 1회용품 사용을 줄여야 할까?

 

1. 쓰레기 양 폭발적으로 증가
환경부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은 세계 최상위권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배달과 택배가 늘면서,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량은 더욱 폭증했죠.

1회용 컵만 하루 700만 개 이상 사용
배달용 플라스틱 용기, 젓가락, 비닐 등이 쓰레기 대란의 주범
포장지, 테이프, 비닐봉지까지 포함하면 그 양은 어마어마합니다
문제는 이 쓰레기들이 단순히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2. 미세플라스틱으로 자연과 인간에게 피해
버려진 1회용품은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고 조각나면서 미세플라스틱이 됩니다.
이 미세플라스틱은 바다 생물의 체내에 쌓이고, 다시 인간에게 되돌아옵니다.

우리가 먹는 생선, 소금, 심지어 공기 중에도 미세플라스틱 존재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혈액, 폐 조직에서도 미세플라스틱 검출
결국, 편리함을 누리기 위해 만든 플라스틱이 우리 몸을 위협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된 것이죠.

 

3. 재활용? 현실은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
“그래도 플라스틱은 재활용되잖아요?”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하지만, 실제로 재활용되는 비율은 매우 낮습니다.


 1회용품 재활용의 현실

전 세계 플라스틱 중 재활용률은 약 9%에 불과
나머지는 대부분 소각되거나 매립, 혹은 해양으로 유입

 

생활쓰레기가 자연분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이미지 출처: 해운대구청)



왜 이렇게 낮을까요?

이유 1. 다양한 재질의 혼합
일회용품은 단일 재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일회용 커피컵은 겉은 종이지만 안쪽에 방수 코팅이 되어 있어 분리배출이 어려워요.

또한 플라스틱도 종류(PET, PP, PS 등)가 다양해 혼합되면 재활용 가치가 뚝 떨어집니다.

이유 2. 오염된 상태로 배출
배달 음식 용기에 음식물이 남아 있거나 기름이 묻어 있으면,
세척이 되지 않은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불가능해집니다.

실제로는 재활용함에 넣더라도 분리 작업에서 제외되어 소각
‘깨끗이 씻어서 버려야 재활용 가능’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놓치고 있죠

이유 3. 경제성이 떨어짐
플라스틱을 다시 재활용하려면 분리, 세척, 가공, 재가공 등 복잡한 공정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이 새 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더 많은 비용과 에너지가 들기도 하죠.
그래서 많은 기업들이 여전히 새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 지금 당장 실천할 수 있는 1회용품 줄이기

작은 습관 하나가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 몇 가지부터 실천해보세요.

1. 개인 텀블러, 장바구니 사용
카페에서 개인 텀블러 사용 시 할인해주는 매장도 많아요.
장바구니나 에코백을 들고 다니면 비닐봉지를 줄일 수 있어요.

2. 배달 음식 덜 시키고, 포장 시 용기 선택
꼭 필요할 때만 배달 이용
가능한 다회용기 선택 매장을 이용하거나 ‘일회용 수저 안 주셔도 돼요’ 체크하기

가정 배달시 1회용품(나무젓가락, 1회용 숟가락 등)을 요구하지 않는다.

3. 외출 시 간단한 컵, 수저, 손수건 챙기기
외출할 때 작은 휴대용 수저 세트, 손수건을 챙기면
예기치 않게 쓰게 되는 1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어요.

 

4. 분리수거 방법 습득하기!

 

종류대상품목배출요령

플라스틱류 페트병, 요구르트병 그 외 플라스틱 - 부착상표 제거
- 내용물 비우기
비닐류 뽁뽁이, 라면봉지 등 - 물기 제거
- 음식물 이물질 제거
- 제거 힘들면 일반쓰레기로 배출
스티로품 하얀색 스티로폼만 - 테이프 제거·운송장 제거
- 색깔있는건 일반쓰레기
- 음식물 흔적이 있는 라면 용기는 일반쓰레기
캔류,고철 우산대, 철옷걸이, 냄비, 프라이팬, 캔, 통조림 등  
유리병 소주, 맥주, 청량음료 등 - 빈용기 보증제도 이용(슈퍼,마트에서 반환)
드링크병, 소형 주스병 - 뚜껑분리
- 깨진건 불연성쓰레기로
도자기병, 거울, 크리스탈 유리제품, 내열식기 - 불연성 종량제 베자루
폐건전지, 폐형광등 건전지, 형광등류 - 아파트 : 전용수거함
- 주택,빌라 : 동주민센터
종이류 종이팩 : 우유, 두유팩 - 비우고 헹구기
- 물기제거, 압착배출
택배상자 등 - 테이프 제거, 운송장 제거
- 기름종이, 음식물 묻은 것 등은 일반쓰레기로
불연성쓰레기 사기그릇, 도자기, 깨진유리, 뼈다귀, 조개껍데기 - 공동주택 : 전용수거함
- 단독주택 : 배출요일 배출(불연성 종량제 베자루)

 


 

마무리하며 — “내가 줄인 1개의 플라스틱, 지구가 숨을 쉽니다


한 사람이 1회용품 하나 줄이는 건 작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그 작은 행동이 쌓이면, 거대한 환경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이 썩는 데 500년이 걸린다면,
그 시간만큼이나 긴 호흡으로 우리 아이들과 다음 세대를 위한 실천을 지금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