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정보

담배 끊고 건강 찾기! 금연치료지원사업으로 금연 성공률 UP!

by 빅토리아2025 2025. 4. 22.
728x90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함께 하는 금연치료 지원사업

 

금연 성공!

의지로는 극복하기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금연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연치료 지원사업 배경

 

과거 흡연을 개인의 기호로만 치부했던 때와 달리 요즘 흡연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 정책은 개인의 습관이나 질병이 아닌 니코틴 중독에 의환 질환으로 보고 있습니다. 질환이기 때문에 의사의 진료, 상담, 금연치료의약품 및 니코틴 보조제에 대한 처방이 필요하며, 이런 과정에서 드는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이 탄생되었습니다.

 

금연을 혼자 의지만으로는 성공하는 확률이 4% 정도라면, 정보제공, 상담, 금연치료제 병행시 성공하는 확률이 무려 3.3 ~ 6.3배로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미국 임상진료지침 금연지원서비스 금연성공효과 및 세계보건기구 세계적 담배유형 현황에 대한 보고)

 

<근거법령>

‣  국민건강보험법 제14조(업무 등) 제1항 제4호, 제1항 제13호, 시행령 제9조의2 제6호
‣  국민건강보험법 제108조의2(보험재정에 대한 정부 지원) 제2항, 제4항 제1호

 


금연치료 지원사업 참여자

참여 대상은 : 금연 치료를 희망하는 건강보험 가입자 및 의료급여 수급권자,  건강보험료 하위 20%

미성년자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의약품 처방보다 상담 및 진료를 권유하고 있습니다. 

 

<금연참여자 인센티브>

금연치료 프로그램을 모두 이수한 참여자에게는 본인부담금 환급
※ 2019.01.01.부터 금연치료 프로그램 참여자 대상 건강관리물품 지급제도 폐지
이수기준 : 6회 상담 또는 처방 치료제별 투약일수 만족
부프로피온 - 56일 이상 투약
바레니클린 - 84일 투약
보조제(패치, 껌, 사탕) - 84일 투약

 


금연치료 지원사업 신청방법

이번 지원사업은 그동안 지자체 보건소에서 했던 금연예방, 지원과 달리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함께하는 지원서비스입니다. 보건소는 찾아가기 힘든 경우가 많아 도움 받기가 힘든데, 금연치료 지원사업은 우리집 근처 금연치료 의료기관에 방문하면 됩니다!

 

<금연기관 의료기관 찾기>

 

방법 1 : The 건강보험 앱을 설치한다. -> 건강iN - 검진기관 병원 찾기 - 특성병원 - 금연치료 의료기관 선택

방법 2 :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병의원 정보를 찾는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 금연치료지원사업 사업안내서 p.12

 

 

* 금연치료는 대면상담이 원칙입니다!  대리인의 금연진료‧상담, 의약품 및 보조제 구입이 불가 합니다.


금연치료 지원사업 지원 내용

6회 상담이 원칙, 대면상담이 원칙입니다.

 

8~12주 기간 동안 6회 이내의 의사의 진료 및 상담과 금연치료 의약품 또는 니코틴 보조제의 구입비용을 지원해줍니다.

* 니코틴 보조제 : 니코틴 패치, 껌 사탕 등 

 

3회차부터 진료비, 약제비 본인부담금을 면제합니다. 

1~2회차는 본인부담금 20% 부담

금연치료 진료 및 상담료 기준표

 

금연치료 프로그램 이수 시 본인이 부담한 진료비, 약제비 전액 환급

 


금연치료 지원사업 이수기준

6회 상담 또는 금연치료제별 투약기준을 만족했을 때! 이수기준을 충족했다고 봅니다. 

* 금연치료제별 투약 기준은 부프로피온의 경우 56일 이상, 바레니클린, 보조제의 경우 84일

 

만약 금연에 실패했다면 다시 참여할 수 있나요?

1년에 3번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금연에 실패해도 프로그램을 이수한 경우 본인부담금도 환급해드립니다. 

 

 

* 문의 : 금연산담센터 033-811-2090

 

혼자 하기 어렵지만,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면 반드시 금연에 성공하실 겁니다. 나의 건강, 가족 건강을 위해 금연치료 지원사업에 참여해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