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야생 속의 고양이, '삵'을 아시나요?
2025년 7월, 환경부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특별한 포유류를 선정했습니다. 바로 우리나라 야생에서 살아가는 유일한 고양잇과 동물, 삵(살쾡이)입니다.
사람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이름이지만, 삵은 오랫동안 우리 자연 속에서 조용히 살아온 소중한 야생동물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이 신비로운 고양잇과 동물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 우리나라에 남은 마지막 고양잇과 야생동물
고양잇과 동물 중 우리나라 멸종위기 야생생물로는 스라소니, 표범, 호랑이, 그리고 삵이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삵을 제외한 나머지는 남한 지역에서 자연 상태로는 사실상 절멸된 상태입니다.
현재 야생에서 삵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어, 우리나라 생태계에서 고양잇과의 마지막 생존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삵, 어떤 동물일까요?
삵은 ‘살쾡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겉모습은 고양이와 비슷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종입니다.
몸길이: 약 45~55cm
꼬리 길이: 25~32cm
체중: 3~7kg
털색: 황갈색 또는 적갈색 바탕에 불규칙한 점무늬
특징: 흰 뺨, 얼굴 양옆의 갈색 줄무늬, 귀 뒤의 하얀 반점
특히 귀 뒤편의 하얀 반점과 굵은 꼬리, 그리고 둥근 귀는 고양이와 삵을 구별할 수 있는 주요 특징입니다. 어린 삵은 집고양이와 매우 흡사해 구조를 위해 발견했을 경우 일반 보호소가 아닌 지역 야생동물구조센터에 신고해야 합니다.
어디에 살고 있을까?
삵은 제주도와 일부 섬 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하천 주변이나 산림 속 바위 틈, 쓰러진 나무 밑 등 은신처에서 생활합니다.
야행성인 삵은 설치류를 주요 먹이로 삼으며, 조류, 어류, 곤충까지 사냥하는 능력자입니다. 심지어 물을 건너기 위해 수영도 합니다!
🐾 생존을 위협받는 삵
과거 삵은 농촌에서 쥐를 잡는 동물로 알려졌지만, 쥐약에 중독된 설치류를 먹고 2차 중독으로 죽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최근에는 도로가 많아지면서 동물 찻길 사고 또한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전체 7만9천여 건의 동물 교통사고 중 삵은 480건으로, 전체의 0.61%를 차지했습니다. 귀하고 중요한 생명들이 안타깝게 도로 위에서 희생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 멸종위기종,
보호는 선택이 아닌 의무
환경부는 삵을 1998년부터 보호종으로 지정했으며, 현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관련 법령에 따라 삵을 허가 없이 포획, 채취, 훼손하거나 죽이는 행위는 최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최대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더 알고 싶다면?
삵을 포함한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 nibr.go.kr
국립생태원: nie.re.kr
🌿 우리 모두의 관심이 삵을 지킵니다
자연은 그 자체로 귀중하며, 특히 멸종위기종은 생태계의 건강성을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조용히 자연 속을 누비는 삵이 앞으로도 우리나라 야생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작은 관심과 배려가 절실합니다.
야생동물을 만났을 때는 무리하게 접근하지 말고, 필요한 경우에는 관할 야생동물구조센터에 꼭 신고해주세요.
#멸종위기동물 #삵 #살쾡이 #환경부 #야생생물보호 #야생동물구조센터 #고양잇과 #자연보호 #생물다양성
'환경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교육사 자격증 취득방법 총정리(시험일정, 양성과정 등) (2) | 2025.06.14 |
---|---|
환경도 지키고 아이 피부도 지키는 리프 세이프(Reef Safe) 자외선 차단제 추천 (2) | 2025.06.07 |
생리대, 기저귀 환경에 문제 없을까? 만들어지는 과정, 분해시 환경오염 실태 (3) | 2025.06.03 |
식기세척기 사용 시 '이것' 조심하세요! 미세플라스틱 수십만 개 방출될 수 있습니다 (2) | 2025.05.28 |
오늘부터 녹색소비, 플라스틱 잘 가! 2025 녹색소비주간이 시작됐어요! (2)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