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정보

환경교육사 자격증 취득방법 총정리(시험일정, 양성과정 등)

by 빅토리아2025 2025. 6. 14.
728x90

최근 기후변화, 탄소중립, ESG 등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 관련 전문 자격증에 대한 수요도 함께 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환경부에서 인증하는 ‘환경교육사’ 자격증입니다. 오늘은 환경교육사 자격증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취득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환경교육사 양성현황

2015년 환경교육사 양성을 시작으로 현재 2급 367명, 3급 2,804명을 양성하여 총 3,171명의 지도자가 있고, 
환경교육사 정보는 공개 희망자에 한하여 "환경교육사 현황" 클릭 시 확인 가능합니다.

 

 


환경교육사 시험 일정 및 신청 방법


시험은 연 1회 또는 2회 실시됩니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교육협회 홈페이지나 지정된 기관을 통해 공고됩니다.
보통 상반기(34월), 하반기(910월) 중 접수가 이루어집니다.

 

 

2025년 올해의 경우 제1 차 환경교육 필기시험

 

 

환경교육사 필기 시험 공고문

-출처:환경부-환경교육사 공식 사이트

「2025년+제1차+환경교육사+필기평가」+시행+공고문.pdf
0.41MB


환경교육사 등급별 자격요건(「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5조 [별표1])

1급
  • 2급 자격 취득 후 3년 이상 경력
  • 환경교육 관련 박사학위 취득
2급
  • 3급 자격 취득 후 3년 이상 경력
  • 환경교육 관련 석사학위 취득
  • 환경교육 관련 6년 이상 경력
3급
  • 누구나 (3급 양성과정 이수자)
    ※ 환경관련 학사 취득자(3급 기본과정 교과목 이수)는 기본과정 수강 면제

 

환경관련 기본과정, 유사전공 목록은 아래

환경교육사+3급+기본과정+유사전공+인정과목.pdf
0.08MB


환경교육사 자격?

 

환경교육사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환경부 장관이 인증하는 국가자격입니다. 환경교육사는 유치원, 학교, 공공기관, 민간기관 등에서 환경교육을 기획하고, 운영하며, 평가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현재는 환경교육사 1급, 2급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경우 2급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2급 환경교육사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중심이고, 1급은 기획, 평가, 정책개발 등 보다 상위 역할을 수행합니다.

  학력인정분야 경력인정분야
자격기준
  • 석사‧박사 : 환경교육 관련 학위
  • 학사 : 환경 관련 학사학위 및 유사전공 과목
    ※ 환경교육사 3급의 경우에는 환경 관련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중 유사전공 인정과목을 수강한 경우 환경교육사 3급 기본과정의 해당 과목을 수료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음
  • 환경교육 관련 업무
    (공공교육기관 또는 사회환경교육기관‧ 단체 등에서 환경교육프로그램의 기획‧진행‧분석‧평가 또는 환경교육)
인정범위
  • 석사‧박사 : 환경교육 관련 논문 주제
  • 학사 : 환경교육과, 환경(공)학과, 생태환경학과, 환경 · 생명공학과, 산림환경학과, 지구과학과, 생명과학과, 농업, 조경 등 유사 학문 관련 전공자
    ※ 전문학사 제외
  • 종사기간 산정 기준 : 연간 80시간
    (3년의 경우 240시간 누계 적용)
인정주체
  • 양성기관
  • 공공교육기관 : 유치원, 초·중등학교, 대학교, 자연환경연수원, 유역(지방) 환경청,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생태원, 국립생물자원관, 한국환경보전원, 지자체 및 교육청 등
  • 사회환경교육기관·단체 : 설립근거법 (조례)이나 정관(또는 회칙 등 이에 준하는 규정) 또는 조직업무표 등에 환경교육 및 지속가능발전교육, 생태교육 등 관련 사업이 포함된 기관·단체
    ※ 환경교육사 양성기관 제외 가능
증빙자료
  • 학위증명서
  • 공공교육기관 : 기관명의의 직인이 포함된 경력확인서 제출
    ※ 경력확인서는 서식1(종사기간 명시)을 준용하되 기관의 별도 양식도 제출 가능
  • 사회환경교육기관·단체 : 정관, 법인 등기부 등본(또는 법인설립허가증, 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

 


환경교육사 취업정보!

 

1) 환경교육사의 주요 활동 분야

환경교육사는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삶을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활동을 수행합니다. 주요 활동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학교 및 교육기관: 초·중·고등학교, 대학교 등에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지자체 및 공공기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합니다.
- 민간단체 및 비영리기관: 환경 보호를 위한 캠페인, 워크숍, 세미나 등을 개최합니다.
- 기업 및 산업체: 직원 대상의 환경 교육 및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교육을 제공합니다.
- 온라인 플랫폼: 디지털 환경교육 콘텐츠 제작 및 운영을 통해 더 넓은 대중에게 접근합니다.

2) 취업처 및 진로 방향
- 환경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다음과 같은 기관 및 분야에서 취업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 환경부 산하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공단 등에서 환경교육 관련 업무를 수행합니다.
- 지방자치단체: 각 지역의 환경교육센터, 주민자치센터 등에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학교 및 교육청: 환경교육과 관련된 교재 개발, 교사 연수, 학생 대상 프로그램 등을 진행합니다.
- 비영리단체(NGO): 환경 보호를 위한 캠페인, 교육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고 실행합니다.
- 기업의 지속 가능성 부서: ESG 경영을 위한 직원 교육 및 내부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3) 취업 전망 및 경쟁력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교육사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환경교육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실천 교육입니다.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환경교육사의 역할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환경에 관심이 많고, 교육이나 커뮤니케이션에 강점이 있다면,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은 분명 가치 있는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